작년부터 이어오던 이사 과정을 거의 마쳤다. 가족들이 나간 후로 혼자 비싸게(!) 지내던 집을 빨리 정리해야하는 부담이 있어 급하게 집을 알아보러 다녔지만 전체적으로 렌트비가 오른 탓에 1인실도 너무 비싸고 주위에서는 그마저도 구하기가 쉽지 않아 고민하던 차에, 지인께서 방이 하나 비어 있다고 임시로 혹은 계속해서 거주해도 되니 들어오라고 제안을 하셔서 옮기기로 했다.

일단 당장 나가던 주당 렌트비의 부담은 덜고 확실하게 비용 절감이 되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일을 하는 사업장이기도 했던 근거지를 방 하나로 옮기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고 여기저기 남아 있는 짐을 정리해서 방 하나에 다 넣는다는 것도 힘들었다. 결론적으로는, 창고에 있던 재고와 쓰지 않는 짐은 일단 웬디 할머니의 도움을 받아 창고에 보관 후 점차 줄여가기로 했고 쓰지 않는 짐은 조만간 집으로 배송 예정, 그리고 실내에 있던 짐들은 이사용 종이상자에 넣어 그대로 보관하며 급한 것만 꺼내 쓰는 정도로 지내보기로 했다. 사실 그 외에 달리 방법도 없고.

창고에 10년 가까이 쌓여 있던 짐을 정리하는 것도 엄청난 스트레스였고 어느 정도 버릴 것을 버리고 정리한 후 다시 이사를 나가는 것도 또한번의 스트레스다. 주거지가 안정이 되어야 뭐든 해볼텐데 머리는 복잡하고 생각이 많다 보니 의욕도 별로 없이 한 달을 보낸 것 같다. 어쨌든 지인들의 도움으로 짐도 옮기고 버릴 것도 정리하고 보관용 짐도 잘 맡기고 방도 얻었으니, 모든 분들에게(읽지는 않겠지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도와줄 분들 없이 헛살지는 않았구나… @.@

며칠동안 조금씩 더 정리를 하며 이제 거의 마쳤고, 좁은 방에 모든 것을 늘어놓고 살 수는 없어 꼭 필요한 것만 꺼낸 상태로 나머지는 쌓아두고 살기로 했고, 그러다 보니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기나긴 이사 과정은 끝에 와 있다. 웬디 할머니 창고에 있는 보관용 짐들을 가족들에게 보내는 일이 남았지만 어차피 보관용 짐이란 것은 말그대로 보관용이고, 이런저런 것들을 정리하며 사는 것을 생각하면 이사 과정은 거의 마쳤다고 볼 수 있겠다. 남은 것은?

새 거주지에서 그동안 묻어놓고 지냈던 일에 대한 부분들, 가족들이 있는 곳에서의 새로운 일 시작 등 앞으로 해야할 새로운 일들을 제대로 해야할 시점이다. 집을 수리하는 일도, 심지어는 정원을 관리하는 일도 제대로 안되고 있지만 “이사”라는 큰 과제는 마무리를 했으니 앞으로는 새로운 기반에서 뭐든 더 잘 될거라 믿고 또 그렇게 노력해야 할 듯.

그럭저럭 집 구매와 이사 등에 신경을 쓰느라 벌써 3월도 다 가고 4월이다. 6개월 이상을 이 일에 매달려서 무난하게 잘 마무리 했으니 다행이랄까?

끝으로 살던 집을 나오면서 겪은 부동산 직원에 대한 그리 좋지 못한 기억들. 살던 집은 아이들이 자란 시간, 내 일을 키워가는 과정 등 여러 가지로 내 가족에게는 호주에서의 삶에 의미가 있는 장소였다. 늘 그렇듯이 우리는 집을 깔끔하고 문제없이 쓰도록, 그리고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을 해결해가며 살았고, 중간중간 주인으로부터 “고맙다”는 인사도 받곤 했지만, 정작 마지막으로 이사를 나오는 내게 있어 현실은 그러지 못했다.

10년 전 이사를 들어가는 시기에 주인은 아직 짐을 비우지도 않았고 그렇기에 당연히 집 청소도 해두지 않고 나갔으며 우리는 전체 청소는 물론이고 그 전 주인인 할머니가 살던 시절부터 묵은 벽의 때도 벗겨내며 전체를 청소했다. 주인과는 “나갈 때 청소 안한다”고 약속을 했지만 그렇게 동의하던 주인은 친구라며 데려온 부동산 직원(새로 집 관리를 맡기기로 한 친구)과 사전 모의를 했는지 “카펫 청소는 안해도 되지만 여기저기 먼지가 쌓였다”는 것을 핑계로 목소리를 높이며 청소비를 내라고 했다.

이사 일주일 전에 마당도 쓸어주고 앞마당 잔디도 깎아 주었지만 구석구석에 난 풀을 뽑지 않았다고 지적하는가 하면(물론 안 뽑은 것은 잘못이지만 입주 당시에는 더 관리가 안되었음) 이것저것을 핑계로 결국 880불을 본드비(예치금)에서 깎는 것으로 합의를 보고 마무리 했다. 안 그래도 바쁘고 머리 복잡한데 논쟁하기 싫은 상황도 한 몫을 했지만 결정적으로 의지를 꺾은 일은 중개인이 한 말. “안 그래도 거의 5년 전부터 주인한테 너 쫓아내고 더 올려서 사람 받으라고 했는데 주인이 사람 좋아서 너 오래 살게 해주었으니 나갈 때 청소 등은 최소한 해야 하지 않겠냐”고 한다. 이것들이 인간이야? 내가 이렇게 무시받고 거지처럼 얹혀산거야?하는 생각… 집 관리 열심히 하면서 살아도 결국 남는 것은 없고, 코비드 이전에는 어차피 시세도 높지 않았으며, 주인과 합의해서 “잘 관리하는 대신 싸게 살기로” 했지만 지금에 와서는 우리를 “봐줬다”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니,

쥐뿔 돈 버는 것은 하나도 없으면서 오직 부모 잘 만나 그 덕분에 일찍 집 사서 계속해서 세입자한테 돈 받아서 대출갚는 주제에 무슨 특급 부자라도 되는 듯 으시대는 꼴이란, 그대들이여, 호주란 곳은 정말 자본주의 극치, 돈이 없으면 집이 없으면 그렇게 서럽게 살 수 밖에 없는 곳이다. 열심히 벌고 모아서 꼭 집 사라 더러운 꼴 보기 싫으면.

오래는 아니지만 그래도 지금껏 살아보니 인생은 돌고돌아 뿌린대로 거두고 노력한만큼 이루고 사는 것 같다. 더럽고 치사하게 행동하는 그들에게 어울리는 결과가 언젠가는 되돌아갈 것을 생각하며, 그냥 조용히 잊고 나는 또 나의 살아온 인생에 맞게 여전히 노력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갈길 가려 한다. 아직도 길은 멀고 험하다. *

지난주에 이어서 토요일에 진행하는 렌트 인스펙션(inspection)을 가보았다. 원하는 위치에 적당한 상태의 만족스러운 조건, 그리고 좋은 가격의 매물은 없다. 만약 그런게 있다면 누구에게든 좋아 보여 경쟁이 치열해진다. 어제 갔던 한 곳은 인터넷에서도 사진 몇장 없고 사람들이 거의 찾지 않을 것 같은 상태로 보였지만 일단 위치는 적당하고 가격도 저렴해서 한번 가본 곳인데, 결과는… @.@

집을 구매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실제로 부동산 인스펙션을 가보면 딱 그 사진에 나온 정도이다. 물론 항상 사진이 더 좋다. 실제로 보면 구석구석 사진으로는 보이지 않던 것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넓이나 구조도 생각과 많이 다르다.(그래서 집을 구매할 때 정말 많은 곳을 가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진에 현혹되지 말 것!) 인도계의 부동산 직원이 와 있었는데, 주소지를 찾아가 보니 꼭대기까지 올라가도 호수가 없다? 다시 내려오니 직원이 다른 곳에 있다고 알려준다. 엉뚱하게(공동 입구조차 다른) 한 집을 보여주는데, 뭐랄까 이거 창고로 쓰던 곳을 개조한 집인가?

지난번의 썩은(?) 집 보다는 상태가 좋지만(흥미롭게도 그 집은 누가 계약함!) 집이 너무 좁다. 침실도 작아서 과연 현재 쓰는 침대가 들어갈까 싶고, 부엌 아래에 세척기는 없고 엉뚱하게 세탁기를 두었다. 그러면 아직 돈도 다 안낸 내 세탁기는 어디로 가누? 결정적으로 거실이라고 할 만한 공간이 딱 책상 절반 정도 둘 수 있는 넓이라 현재 창고에 있는 각종 짐과 재고들을 둘 공간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할 수 없지…

현재 시드니(호주)의 렌트 현실이 이렇다. 방 3개짜리가 비싸다고는 하지만 그에 비해 1/3도 안되는 넓이(대략 일반 주택의 방 2개 넓이, 전체 면적의 1/3-1/4)지만 비용은 400-500불이나 한다. 밀려드는 이민과 입국자들로 넘쳐나는 호주라서, 게다가 도시일수록 그 정도가 심하고, 요즘은 혼자 살거나 하는 사람도 많고, 비싼 집이 어려워지니 점점 더 싼 집을 찾는 이들로 인해 저렴한 렌트일수록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

잠시 생각… 이 코딱지(?)만한 집을 투자로 해서 돈 받아먹기 위해 400불 가까운 돈을 원하는 주인은 도대체 누구인가. 일반 주택과 비교하자면 이거 200불이 합리적인 가격 아닌가?

2월을 보내고 3월이 되어 지난 생활비를 보니, 2월 한달 동안 마트에 간 생활비로만 280이 들었다. 큰 돈 일 수도 있지만 약간의 간식, 냉동실에 넣어둔 양념 고기, 컵라면과 김, 김치 등을 제외하자면 실제로 거의 돈을 안 썼다. 주유소에 가서 한번 기름을 넣으면 절반이 50, 가득이 100불 정도라 생각하면 생활비 지출 수준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실제로 제대로 시장을 본다면 돈이 많이 드는게 현실이다. 몇년 전에 비해서도 두배 가까이 오른 각종 비용을 보자면, 한번 방문에 300불 정도는 써야 그나마 먹을게 있다는 짜증나는 사실.

요 며칠 속이 좀 안좋았더니 오랜 세월 달고 지냈던 달달한 것을 멀리하게 된다(위산 촉진). 한동안 콜라 등을 먹지 않고 지냈었는데 작년부터 조금씩 다시 먹을 수 있게 되어 다행이라 여겼지만 이제 먹고 사는 일이 불규칙적이 되니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느낌이랄까.

현재 살고 있는 집을 빨리 빼는 것이 그래도 절약하는 방법이라, 기준을 조금 높여서라도 곧 이사를 해야할 듯 싶다. 하는 일에도 영향이 있고 이것저것 여러 가지 변화와 현실이 겹치는, 쉽지 않은 과제다. *

가족들이 이주를 하고 시간이 좀 지나 급하게 처리해야할 것은 거의 되었고(아직도 할 일은 많음) 현재 사는 곳에서도 창고 정리가 끝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이사를 해야할 시간이 되었다. 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는 집을 옮기는 것과 함께 현 주소지에 연결되어 있는 구글맵의 처리다. 멀리 이사를 하기에는 기존 고객층이 이탈하기에 문제가 되고 그렇다고 계속 살기에는 비어있는 방에 대한 현실적 비용이 부담이다.

일단 하나씩 해결하기로 하고 구글쪽에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고 처리중인데 생각처럼 잘 되지는 않고 있다. 다시 시도할 예정. 이와 별개로 집은 구해서 옮겨야 하기에 먼저 집주인 케리 Kerry에게 이사를 나갈 예정이라고 통보를 했다. 케리는 3주 전에 연락주면 될 것 같다고 해서 집을 구하는대로 연락주기로 했다. 물론 집을 못 구하면 계속 살아야 한다… @.@

요즘 호주는 전국적으로 집을 구하지 못해 난리다. 출산율이 높아서가 아니라 에어비앤비 등 수익이 더 나는 용도로 운영하는 집이 늘었고 신축 주택은 줄고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인구(유학 등)는 늘고 또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세대 분리가 되는 경우가 많으니, 간단히는 수요가 많고 공급이 안되니 렌트비는 무섭게 오르는 중이다. 처음에 호주 왔을 때 방 2개짜리 집에 420불을 내면서 한국과 비교해 엄청난 물가에 놀랐지만 이제는 방 1개짜리 허름한 집이 그 수준이다. 이 동네의 방 3개 집은 조만간 900을 넘어 1000을 찍을 듯 하다. 월 아니고 주 단위다…

슬슬 집을 알아봐야 하기에 오랜만에(한동안 집 구경을 안 다녔네?) 인터넷에서 몇 개를 골라 집을 보러 갔다. 사진으로는 그럴듯하게 깔끔해 보이는 집이다. 그래서인가 시간이 안 되었는데도 밖에서 기다리는 사람이 대략 10여명. 좀 멀찍이 차를 세우고 가보니 입장이 시작되었다. 방 하나짜리 단독이나 별채가 필요해서 집 뒤로 돌아가보니, 언덕에 지어진 집으로, 본채에 바로 붙여서 하나의 건물처럼 보이게 지었지만 실은 별채이고, 관리가 제대로 안 된 탓인지 실내는 구석구석 상태가 안 좋다. 워드로브라고 하는 실내 붙박이 옷장은 거의 쓸 수 없을 정도의 상태이고 부엌의 서랍과 싱크대는 아래쪽이 삭아서 일어났다. 넓기는 꽤 넓지만 상태가… @.@ 이게 주 400불이다.

한 동네에 다른 집이 있는데 시간이 너무 남길래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현재 사는 곳 근처 동네다. 구글맵 때문에 같은 동네로 이사하면 좋지만 교통이 편한 동네보다 오히려 주에 30-50불이 더 비싸서 멀리 가려 했는데, 옆동네에 있는 이 집은 상태는 좋은데 문제는 교통이다. 한인 동네를 가더라도 한 5분 이상 더 움직여야 하고 구글맵을 옮기기에도 애매한 위치. 주인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전기요금 등을 포함해서 주 430이라니 나쁘지는 않고, 특히 경쟁이 없다… 나를 제외하고 한 쌍의 젊은이들만 왔더라는.

집을 구하기 어려운 것은, 현재 사는 곳의 창고에 남은 재고와 다른 짐 때문이다. 창고가 없는 집을 구하면 그 모든 짐을 거실에 둬야 하니 조금 넓은 곳을 구해야 하고, 당연히 창고가 있는 집이면 더 비쌀 수 밖에 없다. 짐이 전혀 없으면 쉐어 shareroom로 들어가도 괜찮은데 가전 제품 침대 등이 있는데다 창고에 남은 짐도 많아서 쉐어는 갈 수가 없다.

매주 낭비되는 돈을 생각하면 빨리 구해야 하지만 또 일과 연관이 되니 아무렇게나 대충 구해서 나갈 수는 없는 노릇이라 머리가 아픈 상태다. 게다가 집을 구하는 이들이 많아 경쟁도 치열하고 기대처럼 상태가 좋은 집도 잘 나오지 않는다. 잘 되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