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 Ads

집수리 기간을 제외하고 입주한지도 벌써 10개월이 된 상황에, 아래층 화장실 레노베이션을 무사히 잘 마치고 급하게 손봐야 할 것들은 대충 마무리 했지만, 윗층 레노베이션과 같은 큰 일을 제외하고 마음에 걸리는 두 가지 과제가 더 남아있다. 물론 하나는 급하게 해야할 것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해야할 일이니 과제가 된 셈이다.

예전 사진을 보면 마당에 그다지 나무도 없고 적당히 잔디로 관리한 듯 하지만, 전 주인이 약간 특이한 성향이었는지 잡다한 잡목들을 잔뜩 심고 좀 어수선하게 해두었던터라 이사하기 전에 사람을 불러 큰 나무 두 그루를 제외하고는 모두 없애 버렸지만, 마당 자체에 특별히 뭐가 있는게 아니다 보니 수시로 잡초가 올라오고 잡목의 뿌리를 거의 제거했지만 아직도 죽지 않고 버티고 있다.

화단 조성이나 정원 관리는 영어로 랜드스케이핑 landscaping이라고 해서 어느 정도 비용이 들고 집의 가치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는 주제다. 아쉽게도 집의 구조가 진입로 경사 때문에 작은 공사 차량이 진입하기 어렵다 보니 만약에 마당을 다듬어 뭔가 작업을 하려면 사람을 불러 시간과 비용이 꽤나 많이 들 것 같은 상황에서, 일단 마당 한 쪽의 작은 돌을 걷어내고 거기에 나무 바닥(deck)을 깔아보려고 계획했다.

일반적으로 지붕이 있는 구조는 신고를 해야 하고 크기나 환경 등에 따라 카운슬에 신고를 해야 하냐 아니냐의 구분이 있지만, 그 보다는 덱(deck)을 설치하는 작업 자체가 결코 쉽고 간단한 일이 아닌게 문제다.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 나로서는 덱 설치에 대해 조사해보니, 적당한 깊이로 땅을 파서 걷어내고 그 위에 잡초 방지용 비닐을 깔고 그 다음에 잔잔한 자갈을 깐 후 기본 뼈대 목재를 설치하고(수평 맞추기) 다시 바닥 목재를 깔면 되는 일이다. 말이야 쉽지만 각 단계별 일 자체도 시간과 비용, 특히 노동이 제법 드는 일이다.

목수들에 따르면, 그리고 구글에 따르면 이 덱을 설치하는 비용은 대략 7-8천불 정도가 드니, 실제 재료비를 계산해보면 일반 나무가 아닌 단단한 수입 목재(hard wood)를 사용할 경우 재료비만 대략 2천불 정도다. 통장에 돈이 넘친다면야 그냥 사람 부르는게 간단한 일이지만, 직접 한번 해보고 싶기도 해서 천천히 단계별로 해보기로 했다. 기존의 돌을 걷어내는게 먼저 해야할 일인데, 삽으로 대충 해보니 쉽지가 않아 큰 것들만 한 쪽으로 걷어내고 마무리. 문제는 이렇게 돌을 걷어내고 나면 흙바닥이라 비가 많이 오면 물이 고이거나 땅이 패인다. 그나마 돌이 깔려 있어서 땅이 패이지 않았던 것이지, 돌을 걷어내고 바닥을 다지고 비닐을 깔고 다시 자갈을 덮는 정도까지는 한번에 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쉽지 않네… @.@

다른 한 가지는 수영장 위로 늘어진 뒷집 나무다. 처음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점점 더 자라 수영장 위쪽으로 늘어지다 보니 거기서 작은 씨앗, 벌레, 먼지 등이 떨어져 수영장 필터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일반적 관행에 따르면, 이웃에서 넘어온 가지는 허락없이 그냥 자를 수 있고 그 잔해를 이웃에 가져다줄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버릴 수도 있다. 문제는 자를 수 있느냐의 권한이 아니라, 나무가 너무 높게 위치해 있고 수영장 바로 위라 뭔가 도구를 이용해 시도하기가 어렵다는 것. 가지 치기를 위해 사람을 불렀을 때 물어보니 이웃에 요청해서 잘라달라고 하는게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고.

지난번에 집에 갔을 때 혹시나 해서 한번 만나서 이야기 해보려고 찾아갔지만 문을 두드려도 답이 없어 포기했고, 편지를 써서 넣어볼까 했지만 아직 시도는 못했다. 우리가 생각한 다른 해결책은 높은 사다리를 수영장 안에다 놓고 그냥 그 위에서 긴 전기톱(예를 들어 pole saw)을 이용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것. 이를 위해 에어태스크 airtasker에 올려 보았지만 환경이 별로 안 좋아서인지 응답이 거의 없다. 그냥 좀 더 높은 사다리(3미터?)와 전기톱을 사서 직접 해볼까 생각중이지만 아직 결론은 없다.

주택에 살면 넓은 공간을 누릴 수 있다는 자유와 땅값 상승이라는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지만 이처럼 할 일이 끝없이 이어진다. 그럼에도 주택을 택한 이유는, 예전 공동 주택에서의 이웃과의 마찰은 물론이고, 아무리 아파트나 유닛이 점점 더 일반화되어가는 호주라 해도 결국 부동산의 가치는 “땅(land)”에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과제들이 더 있지만 이 두 가지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기회가 되면 하나씩 해봐야 할 것 같다. 돈을 수만불 벌어도 직접 처리하는게 결국은 남는 장사이다 보니… *

TT Ad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